NOW OR NEVER

드림엘리 : 프론트엔드 입문 - 13. HTML Semantic Tags 본문

Front-End/HTML

드림엘리 : 프론트엔드 입문 - 13. HTML Semantic Tags

LAURA 2021. 11. 22. 21:15
반응형

필수로 알아야하는 semantic tags

  • semantic tags(semantic markup) : semantic의 뜻은 의미의, 의미가 있는 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물건에도 언제 어디에 써야하는 지 등의 저마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html 태그 또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sematic tags를 잘 활용해야 하는 중요한 이유

  1. SEO(Search Engine Optimazation) : 검색을 최적화 하기 위해
  2. Accessibility : 웹 접근성 때문이다. screen reader를 이용하거나 키보드만 이용해서 등의 웹사이트를 이용하는 경우 문제없이 잘 동작될 수 있게 하기 위해
  3. Maintainability : 개발자들을 위해서, 개발자가 html 코드를 바라봤을 때 한눈에 웹사이트 구조를 알아볼 수 있고 유지보수성을 높여서 개발할 수 있다.

sematic tags example

  • <header> : 웹사이트의 브랜드를 나타내 줄 수 있는 로고나 사용자들을 위한 중요한 메뉴 아이템들을 담는 태그
    • <nav> : <header> 안에 여러가지 메뉴들이 모여있을 경우 사용
  • <footer> :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웹사이트의 맨 아래의 마지막으로 부가적인 정보나 링크들을 담는 태그
  • <main> : 현재 웹사이트에서 중요한 부분을 가지고 있는 태그
    • <aside> : main안에서도 페이지의 컨텐츠와 직접적으로 상관 없는 부가적인 내용(광고나 페이지와 연관된 다른 링크들 등)이 담긴 태그
    • main안 내용들은 필요에 따라서 article과 section으로 분리하면 좀 더 구조적으로 웹사이트 구성 가능

헷갈릴 수 있는 내용

  • 문서 안에서 자체적으로 의미 있는 태그가 필요한 것인지 CSS로 스타일링을 위해서 사용하는 지 점검해보는 것이 좋다

section 태그와 article 태그의 차이점

  • article
    • 신문기사의 경우 신문기사에서의 기사 하나를 그 자체를 묶어줄 때 사용
    • 자체만으로 독립적으로 다른 페이지에 보여줬을 때 전혀 문제가 없을 경우 사용
    • main 태그 안 다른 내용들과 전혀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고유한 정보를 나타날 때 사용
  • section
    • article 안에 내용들을 서로 연관 있는 것끼리 묶어주고 싶을 경우 사용
    • article 안이나 main 안에서 아무 곳에서나 연관있는 내용들을 하나로 묶어줄 때 사용
  • 한페이지 안에서 여러가지 내용을 보여준다면 section 별로 나누고 하나의 section 안에서 또다른 블로그 포스팅을 보여줄 때 article을 사용할 수 있다.

img 태그와 css의 속성 background-image 적재적소 활용법

  • img 태그 사용하는 경우 : image가 웹페이지 안에서 하나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을 때 사용해서 html 문서 안에서 자체적으로 포함되게 만드는 것이 좋음
  • css의 속성 background-image 사용하는 경우 : 문서의 내용과 별개로 스타일링 목적을 위해서 배경이미지로 사용되는 경우(문서의 일부분이 아닌 경우) 사용, image가 없어도 문서를 읽는데 전혀 지장이 없는 경우

button 태그와 a 태그 적재적소 활용법

  • button 태그: review, vote, login, sign up, take quiz 등 사용자의 특정한 액션을 위해 버튼을 클릭시 특정한 행동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하는 것이 적절
  • a 태그 : 사용자가 클릭 했을 때 어딘가로 이동하는 경우(링크가 걸려져 있는 경우) 사용하는 것이 적절

목록들의 차이점(ol, ul, dl)

  • ul(unordered list) : 순서가 없는 목록 즉, 단순히 목록으로만 나타낼 때 사용(중첩 사용 가능)
  • ol(ordered list) : 목록 중에서 순서가 중요한 경우 사용, 순서 표기됨(중첩 사용 가능)
  • dl(description list) : 어떤 한 단어에 대해서 설명이 묶여있는 목록 만드는 경우(정의, 설명 목록)
    • dt(description term) : 원하는 단어
    • dd(description detail) : 단어에 해당하는 설명

스타일링을 위해서 table 태그를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

  • 많은 데이터의 양을 행과 열을 이용해서 정말 table이 필요해서 그런 데이터를 나타내는 경우 table 태그를 사용하면 된다.
  • 단순히 아이템을 테이블(grid) 형식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table 태그를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CSS의 flex, grid 를 활용해 조금 더 유연하고 아름답게 스타일링을 가능하게 해야 한다.

시각적 or 강조

i 태그와 em 태그의 차이점
  • i : 시각적으로만 italic 체으로 변환되고 별다른 의미가 없다
  • em : 강조하는 italic 체
b 태그와 strong 태그의 차이점
  • b : 시각적으로만 bold 체으로 변환되고 별다른 의미가 없다
  • strong : 강조하는 bold 체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