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Front-End/Term (3)
NOW OR NEVER

PWA(Progressive Web App) : 새롭고 강력한 소프트웨어 앱을 만드는 방식 모바일 폰에서도 설치해서 실행할 수 있고 desktop에서도 어플리케이션처럼 실행할 수 있다. native apps와 브라우저 웹앱 안드로이드나 아이폰처럼 특정한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native apps는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API를 이용해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역량이 크지만 앱스토어를 이용해서 설치해야 하고 그 플랫폼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웹앱은 플랫폼에 상관없이 브라우저만 있으면 사용가능하므로 사람들이 쉽게 접근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native app처럼 플랫폼 자체의 API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 이 있다. 개념 html, css, j..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개념 service 내부의 구현사항을 잘 숨겨두고 외부에서 사용하는 사람이 필요한 것만 노출해둔 이것을 인터페이스, API라 부른다. 연도별 API의 역사 API의 시초 : 1964년 거대한 컴퓨터를 쓸 때부터 등장한 단어로 하드웨어 독립성(Hardware Independence)을 위해 사용됨. 예를 들어 서로 다른 하드웨어 부품마다 개발자가 일일이 프로그래밍을 작성하기 보다는 HAL(Hardware Abstraction layer)라는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을 통해 한번만 display 함수를 이용하면 각기 다른 모니터에 출력을 하거나 각기 다른 하드웨어 부품에 작성을 하는 이런 일들을 쉽게 해주는 것이 생긴 것이다. 1980년대 중..

반응형 웹디자인 1990 중반은 데스크탑 위주 브라우저 최근에는 태블렛과 핸드폰에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반응형 웹디자인으로 만들어야 공간 활용을 잘 할 수 있다. 브라우저 컨테이너 사이즈에 따라 컨텐츠가 유동적으로 변화 컨텐츠를 물같이 유동적으로 어떤 컨테이너에 담기든 그것에 맞게 만들어라 웹사이트를 만들 때 고정된 사이즈 보단 유동적으로 레이아웃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px이 아닌 flex grid, flex box, %, vw, vh 등을 이용해 사이즈를 구성한다. media queries 컨테이너 사이즈에 따라 레이아웃 재배치 : css의 media Queries 이용 데스크탑, 태블릿, 모바일 각각 사이즈 범위 지정해서 그것에 맞게 웹사이트 변화 요즘에는 기준이 되는 사이즈는 없지만 굳이 나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