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관리 (3)
NOW OR NEVER
Thread 동시 처리는 동기처리이고 순차적으로 처리는 비동기처리라고 한다, thread는 동기처리이다 네트워크는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돌발상황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해당 부분은 실행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 하기 위해 해당 부분은 thread로 관리 한다. 예외는 예측이 가능한 오류 main thread는 안드로이드 OS에 의해 관리 kotlin에서는 runOnUiThread(화면 관리 요소 처리) 별도 작성 필요 없이 main thread로 구현 가능 하다 개발자가 만드는 thread는 누적 thread이다. Fragment new- fragment - fragment(blank) 화면이 여러 개 일때 fragment가 필요하다 여러 화면을 가지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여러 Acti..

왜 프로젝트로 공부해나가야 하는지 실용적인 방법들을 많이 배울 수 있고 결과물이 눈으로 보여서 성취감도 생김 중요한 이유 : 문제 해결 능력을 연습해 볼 수 있음(개발자의 중요한 자질)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만들어 나가면 좋은지 분야에 필요한 기술 정리 -html+css만 안다면 : 정적인 반응형 웹사이트 javascript : 동적인 웹사이트(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아옴) -> node.js를 이용해서 백엔드 구축도 해보면 좋음 ->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SPA(동일한 프로젝트) 만들어보기 포트폴리오에 추가할 프로젝트는 어떤 것들? 히든카드 프로젝트 가고자하는 분야에서 중요한 기술/스택을 1-2개에 초점 독창적인, 창의적인 아이디어 자주 쓰는 앱들의 주요 기능 카피(가고자하는 분야에서 중요한 기술을 활용하면 ..

리액트 입문 class 형 컴포넌트 기존 컴포넌트는 함수형으로 만들었었다. 클래스 컴포넌트는 또 하나의 컴포넌트 선언방식 클래스 컴포넌트는 요즘 자주 사용하지는 않음 클래스 컴포넌트 유지 보수 하거나 함수형 컴포넌트로 해결하지 못하는 부분이 두개 정도 있기 때문에 익히기 앞으로 컴포넌트는 함수형으로 만드는 것이 좋고 클래스 컴포넌트는 꼭 필요할 때 혹은 옛날 컴포넌트를 유지 보수 하는 경우에만 사용 hooks라는 게 생기면서 클래스 컴포넌트는 뒷전이 됨 만드는 방법 상단에 Component 불러오기 : import React, {Component} from ‘react’; class 키워드로 컴포넌트 만들기 : class 컴포넌트이름 extends Component { } class 형 컴포넌트는 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