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기초 (7)
NOW OR NEVER
Kotlin 기초 코틀린 문법, 특성 파라미터 이름 뒤 그 파라미터 타입 작성 여러가지 표준 자바 라이브러리 함수를 간결하게 사용할 수 있게 감싼 wrapper 제공 ex) Sysmtem.out.println -> println 자바와 다른 점 함수를 최상위 수준에 정의 가능 : 자바와 달리 클래스 안에 함수를 정의 할 필요 X 배열 처리를 위한 문법이 존재X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아도 된다. 시작문(statement)과 식(expression) 식: 값을 만들어 내며 다른 식의 하위 요소로 계산에 참여 가능 문: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가장 안쪽 블록의 최상위 요소로 존재하며 아무런 값을 만들어내지 않는다 자바에서는 모든 제어구조가 문이며 코틀린에서는 루프를 제외한 대부분의 제어 구조가 식 ex) 코틀린에..
자바 기초 문법 요소 클래스 클래스는 자바 프로그램의 기본단위 자바 프로그램은 한 개 이상의 클래스로 구성 일반적으로 1개의 클래스는 1개의 자바 파일 파일 명과 클래스 명이 동일해야 함 클래스 명은 대문자로 시작 클래스와 객체 자바는 객체지향(object oriented)언어 객체지향 언어 객체는 사물 또는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개념 사물: 자동차, 프린터, 컴퓨터, 자전거 등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개념 : 옵션, 강사, 학생, 블로그 글, 회원 등 객체는 속성과 행동을 갖고 있음 클래스는 객체를 만들기 위한 틀 또는 템블릿 ex) 자동차(객체)를 만들기 위한 자동차 설계도(클래스) 클래스를 실제로 실행시켜 메모리에 올린 것을 객체라 한다. 클래스는 속성(데이터)과 행동(메소드)으로 나뉘어진다. 메..
식별자 변수 이름이나 클래스 이름이나 method 이름 등 이름을 정해주는 것을 말한다. 다른 것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이름을 정해주는 것 규칙 한글, 영문, 숫자, _,$로 구성될 수 있지만 가능하면 한글을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첫 글자는 영문이나 _로 시작한다. 식별자 첫 글자에는 숫자가 올 수 없다. 클래스 이름의 첫 글자는 영문 중 대문자로 시작한다. 변수명이나 메소드 이름의 첫 글자는 소문자로 시작 식별자를 정할 때는 가능하면 의미있는 이름으로 설정 public, static, void 등과 같이 예약어(자바에서 이미 의미있는 단어로 예약되어 있는 단어)들은 식별자로 사용할 수 없다. 단어와 단어 사이 구분 두 개 단어 이상으로 식별자를 정해 줄 수 있다. 식별자에는 공백을 포함시킬 수 없다...
java java 설치 open jdk ver. : https://adoptopenjdk.net/ cmd에서 java -version : 설치한 java 버전 확인 및 설치 확인 java 프로그램 프로그램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것이라면 자바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컴퓨터를 갖고 어떠한 일을 하도록 만들어진 것, 컴퓨터가 알아들을 수 있는 수 많은 명령어들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언어에는 미리 정해진 규칙이 있다.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은 그 규칙(manual)에 따라 명령어를 작성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 규칙을 익혀야 한다. 의미 있는 이름으로 작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디버깅 : 오류를 고쳐가는 과정을 뜻함 메모장을 이용한 java 프로그램 저장 방법 파일 형식을 모든 파일로 바꾸고 확장자를 포함한 ..
React의 class 형 Component 제작 기본 패턴 React란? 코드 양이 많을 경우 한 눈에 코드가 들어오지 않고 혼란스러운 상태를 초래한다. 이를 하나의 태그로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React이다. 웹브라우저는 이세상에 react라는 기술이 있는지 모른다. 왜냐하면 react는 그냥 사람들이 짜는 코드이고 react가 최종적으로 웹브라우저한테 html 코드를 공급해주기 때문이다. react는 JSX 언어이다 React의 js에서 짜는 코드들은 유사 Javascript이다. react에서 짠 코드를 javascript로 작성할 경우 에러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js의 경우 tag를 표현하는 부분들을 따옴표 등을 활용하여 잘 작성해야 하는데 react의 경우 그냥 tag를 작성해도 잘 동작..

변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처리해야하는 data를 담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즉 data를 담고있는 것이다. 변수를 통해서 data에 접근하고 data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let 키워드를 활용해 변수를 만듦, 변수이름은 원하는대로 지정이 가능하다. let의 경우 변수를 선언하고 나서 값을 또 바꿀 수 있다. const 상수 변수 한번 선언하고 나면 값을 변경할 수 없다. 상수 변수가 담겨있는 메모리 공간 변경 불가 변수 이름 설정시 프로그래밍을 할 때 로직과 연관된 조금 더 의미있는 이름을 지정해서 만드는 것이 좋다 변수 선언시 무조건 그 변수를 위한 공간이 생긴다.(메모리에 어느정도 byte size의 공간이 확보된다) 변수1에 변수2 할당시 무조건 그 변수2에 들어있는 값이 복사되어서 들어가진..

리액트 입문 리액트가 만들어진 이유 Javascript를 사용한 DOM 변형 DOM : 각 html element 정보를 지니고 있는 JS 객체 Ember, Backbone, AngularJS 등의 프레임워크는 작동방식이 다르지만 자바스크립트 특정 값이 바뀌면 특정 DOM 속성도 바뀌어서 업데이트 하는 작업을 간소화해주는 방식으로 웹개발의 어려움을 해결해줌 리액트는 어떠한 상태가 바뀌었을 때 DOM을 어떻게 바꿀지 규칙을 정하는 것이 아니라 아예 다 날려버리고 처음부터 모든 걸 새로 만들어 보여주면 어떨까라는 아이디어에서 시작된 라이브러리이다. 그러면 업데이트를 어떻게 해야할 지를 전혀 고민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개발이 정말 쉬워질 것이다. 리액트는 Virtual DOM을 사용해 성능은 유지하되 업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