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선언 (4)
NOW OR NEVER
변수(variable) 컴퓨터 프로그램은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으로 구성 됨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 실제 데이터는 컴퓨처 메모리에 저장 됨 무엇을 담기 위한 상자 변수는 이름 존재 명확한 이름은 그 변수에 어떤 데이터가 들어 있는 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함 변수의 선언 이 변수를 사용할 것이다 선언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 이름 붙인 공간 확보 하는 것 선언 방법 : 자료형 변수이름; 변수에 갑을 대입 대입 연산자 "="을 사용하여 변수에 값을 저장 대입 방법 : 변수이름 = 변수에 저장할 값; 변수 선언 및 초기화 변수 선언과 동시에 값을 저장하여 초기화 선언 및 초기화 방법 : 자료형 변수이름 = 변수에 저장할 값; 많이 사용하는 방법 변수 값의 사용 변수의 이름으로 변수에..
변수와 상수 public class VariableTest0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korea; korea = "hello"; System.out.println(korea);//변수 System.out.println("korea");//상수 } } 변수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한 데이터를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다면 그 때 변수를 만든다, 상황에 따라 변수에 담긴 데이터를 바꿀 수 있다 변수는 때에 따라서 그 값이 변할 수 있다. 대입 연산자(=) 왼쪽에는 반드시 변수만이 올 수 있다. 변수 사용 시 반드시 변수를 선언하고 사용해야 한다. 그러지 않을 경우 변수가 없다고 처리되어 오류가 발생한다. 변수를 선언함과 동시에..

Class와 Callback 함수 class : 다양한 object를 만들기 위한 청사진 class에서 함수 선언시 function 키워드 사용하지 않아도 됨 class에 원하는 기능을 다 정의하게 되면 사용하는 사람이 자세하게 control할 수 없고 재사용률이 떨어진다. callback 함수 class를 하나의 완전히 다 만들어진 완전체로 만들기 보다는 레고로 조립을 해서 원하는 것을 만들 수 있는 것처럼 원하는 기능을 끼워 맞춰서 재조립이 가능한 것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 그래서 callback 함수를 이용하는 것이다. class 내에서 callback 함수 활용 시 장점 callback 함수를 전달함으로써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하는 사람이 원할 때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c..

함수에서 헷갈릴 수 있는 부분 정확히 이해해야 하는 포인트 선언과 호출의 차이점 이해 함수 선언 어떤 값을 전달받아 올건지 인자들을 정의하고 나서 코드 블럭 작성 선언만 해놓으면 작성한 코드블럭은 수행되지 않는다. javascript에서는 function이라는 키워드를 이용하며 함수 이름을 원하는 이름으로 작성 가능 function Name(parameter){ 실제로 함수 안에서 실행될 코드 } 함수 호출 functionName(); 정의한 선언한 함수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함수를 호출해야 한다. 함수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함수이름 옆에 괄호를 이용해서 함수에서 원하는 정의된 인자값들을 전달하면서 호출해야 한다. 괄호를 쓰지않고 함수 이름만 어디에 할당하거나 전달하면 함수 자체를 전달하는 것이다. 함수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