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연산자 (6)
NOW OR NEVER
연산자 산술 연산자 + - * / % 증감 연산자 증감 연산자는 변수명 앞 뒤 둘 다 사용 가능 증감 연산자가 즉 증감연산자가 단독으로 사용되면 앞에 오거나 뒤에 오거나 동일한 결과가 나온다. 그러나 다른 연산자와 같이 사용되면 의미가 달라진다. 증감연산자는 O = O + 1 이나 O = O-1 이므로 증감연산자와 함께 쓰인 변수가 다른 변수에 저장되더라도 그 변수 또한 값이 증감한다. 증감연산자가 변수 명 뒤에 있을 경우 : 같이 쓰인 다른 연산자 먼저 처리(다른 연산 먼저 실행)하고 증감 연산자 처리(나중에 증감 연산 실행) 증감여난자가 변수 명 앞에 있을 경우 : 증감 연산자 먼저 처리(먼저 증감) 후 같이 쓰인 다른 연산자 처리 ++ : 변수 자신에 +1을 하여 다시 변수에 저장, 1 증가 ex)..

연산자 boolean boolean : 어떤 data type이든 boolean이 될 수 있고 true가 될 수 있다. truthy한 값 falsy한 값들을 제외한 모든 값 무언가 data가 있다면 다 true object는 그 안에 data가 있든 없든 object 자체가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true에 속한다. empty array(텅텅 비어진 배열) 자체는 object이기 때문에 true이다. falsy한 값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data가 없고 비어있는 것들은 false에 속한다. 0, -0, 텅텅 빈 문자열('', " "), null, undefined, NaN(숫자가 아닌 값들) 변수 선언 후 값을 할당하지 않는다면 그 변수에는 undefined 값이 할당되어지게 되어 falsy한 값이 된다...

JS 프로처럼 쓰는 팁 tenary-operator 삼항 연산자 조건 ? true일시 return 값 : false일시 return값; 사용하는 경우 조건이 두가지인 경우 불필요한 else if 문 사용 자제 바로 리턴하는 경우 nullish coalescing operator 함수안에서 변수 선언 = 함수 선언시 설정한 인자 값이 호출할 때 있는 경우 return 값 ?? 함수 선언시 설정한 인자 값이 호출할 때 없는 경우 return 값; left Expression ?? right Expression value만 넣을 수 있는 것이 아닌 코드를 넣어 실행한 값을 할당하게 할 수도 있다. ?? 기준으로 왼쪽코드가 null이거나 undefined인 경우에만 ?? 오른쪽에 이어지는 문장이 실행됨(defa..

Javascript 입문 배열 한 변수 혹은 한 상수 안에 여러가지 정보를 담기 위함이었다면 배열은 여러 개의 항목들이 들어있는 리스트와 같다. 배열 생성 방법 배열을 만들 땐 [ ] 대괄호 사용하고 넣고 싶은 원소(아무거나 가능를 넣어준다. 배열 안 원소들은 ,로 구분 여러가지 종류를 나열해서 넣을 수 있는 것 자바스크립트의 배열은 배열 안에 있는 모든 원소들이 똑 같은 형태(숫자, 문자열, 객체, key: value 형태, 또다른 배열 등)일 필요 없다. 객체이름[n]: n번째 항목 조회 가능(0부터 시작, 즉 배열에서 첫번째 항목은 0번째) 객체의 정보 받아오기 key 값들을 배열 형태로 받아올 때 : Object.keys(객체이름) value 값들을 배열 형태로 받아올 때 : Object.valu..

Javascript 입문 자바스크립트는 무엇인가 브라우저에서 사용하려고 만든 언어 웹 브라우저 상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동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 브라우저에서 사용하려고 만든 언어이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영역(런타임(api 개발 ex. node),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react, native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react와 native 두 프레임워크의 특징은 단순히 웹 뷰를 모바일 앱에 띄워서 웹을 앱처럼 하는 것이 아닌 진짜 native ui를 자바스크립트로 할 수 있게 해줌 node.js를 통해서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iot도 가능 개발자 도구에서 console에서 자바스크립트를 써볼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문법은 consol.log이다. 이것은 특정 ..
문자열 생성, 길이 - str(‘’)로 생성 가능 - ‘ ’, “ ”로 생성 가능 - 문자열의 길이 알아보는 법 : print(len(문자열을 넣은 변수이름)) escape 문자 - \을 사용해서 “”안에 “”을 또 작성 할 수 있다. - \t 네칸정도 비워짐 3.raw string : 경로 표시할 때 많이 사용 - r’ ’ 이나 r “ “로 사용 - ‘ ‘ 안에서 escape 문자 적용되지 않음 - 작성한 그대로 출력됨 멀티라인(multi) - 엔터를 치더라도 \ 기호를 써서 이다음줄에도 내용이 이어진다는 것을 알려주면 에러가 나지 않고 엔터와 띄어쓰기가 출력된다. 문자열 연산 str_o1 = '*' str_o2 ='abc' str_o3 = "def" str_o4="Niceman" #한번 할당하면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