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위치 (3)
NOW OR NEVER
Sensor 조도센서 TYPE_LIGHT 주변 밝기에 따라 실행할 무언 가가 있을 때 사용 주변 밝기 측정 lux 단위의 주변 밝기 값을 가져온다 단말기마다 성능이 달라 sensorUI를 설정해놔야 한다. 메서드 onSensorChanged: 매개 변수로 들어오는 센서 객체로부터 측정된 값 가져옴 onAccuracyChanged : 센서의 정확도 혹은 감도 등의 성능의 변화가 있을 때 호출되는 메서드, 거의 쓸 일 없음 기압 센서 TYPE_PRESSURE 공기압을 측정하는 센서 gps랑 같이 쓰는 것이 좋다 어떤 건물에 있는 지 알아야 어떤 위치의 기압이 얼마인지 수집하면 어느 위치 일때 평균 기압이 얼마인지 파악할 수 있다. 건물 내부의 기압은 건물구조에 따라 달라진다. 보통 실내에서 고도를 파악하기 ..
권한 개인정보 관련된 거는 권한이 비활성화 되어 있다. 사용자에게 권한을 요청해서 받아야 할 수 있고 해당 권한이 활성화되어 있는 지 확인하고 사용해야 한다. manifests- AndroidManifest.xml 파일에 권한 등록 해놓기(application 밑에 작성) 앱 설정에서 권한은 사용자에게 허락을 받아야 되는 권한 종류가 나온다. 사용자가 권한을 비활성화 시킬 수도 있는 것들이기 때문에 이에 대해 권한을 허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허용 권한 작성 법 import android.Manifest 패키지 허용 받을 권한과 허용받지 않을 권한을 구분하지 말고 manifests- AndroidManifest.xml 파일에 등록해놓은 권한(확인하고자 할 권한) 다 mainActivity..

Github 랜딩페이지 클론 코딩 Header header가 아닌 header 안 inner 클래스를 가진 요소에서 header 높이를 지정하는 이유는 header 자체에 높이를 주게 되면 header 안 inner는 높이를 갖지 못한다. 그래서 높이를 두번 지정하게 되는 번거로움을 겪을 수 있다. 하지만 header 안 inner에 높이를 주게 되면 header는 height:auto가 기본값으로 자동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어 한번만 높이를 입력해도 되기 때문이다. 화면 가운데 정렬로 굉장히 많이 쓰는 방법: margin: 0 auto; 로 header inner 영역(메뉴 들어있는 영역 화면 가운데 정렬, 이 속성을 쓸 때는 이 속성을 쓰는 요소에 기본적인 가로사이즈(max-width, w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