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이유 (3)
NOW OR NEVER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이란? 프로그래밍은 요리와 비슷하다(요리 : 재료선택-도구선택-레시피-요리완성) 재료 : 데이터 도구 : 자료구조 레시피 : 알고리즘 요리 : 소프트웨어 요리사 : 개발자 요리를 먹는 손님 :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이용자 자료구조 + 알고리즘 = 프로그램 자료구조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메모리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구조들은 상황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그래서 어떤 상황에서는 느리고 불안정적일 수 있다. 상황에 맞는 올바른 자료구조를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stack, queue, graph, tree 등이 해당된다. 알고리즘 특정 문제를 효율적이고 빠르게 해결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정해진 일련의 절..

변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처리해야하는 data를 담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즉 data를 담고있는 것이다. 변수를 통해서 data에 접근하고 data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let 키워드를 활용해 변수를 만듦, 변수이름은 원하는대로 지정이 가능하다. let의 경우 변수를 선언하고 나서 값을 또 바꿀 수 있다. const 상수 변수 한번 선언하고 나면 값을 변경할 수 없다. 상수 변수가 담겨있는 메모리 공간 변경 불가 변수 이름 설정시 프로그래밍을 할 때 로직과 연관된 조금 더 의미있는 이름을 지정해서 만드는 것이 좋다 변수 선언시 무조건 그 변수를 위한 공간이 생긴다.(메모리에 어느정도 byte size의 공간이 확보된다) 변수1에 변수2 할당시 무조건 그 변수2에 들어있는 값이 복사되어서 들어가진..

console node js에서도 실행 가능하고 web api인 console api에서도 실행 가능 많이 쓰이는 문법이라 거의 web api 뿐만아니라 프레임워크 등에서도 다 실행가능 Devtool console js 작성해서 실행 가능 간단한 js기능 구현 가능 source 디버깅시 유용 작성한 코드 확인 가능 break point 를 걸어서 디버깅할 때도 유용하게 쓰임 network network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얼마나 많은 사이즈들의 데이터가 오고가는지 검사 가능 performance 분석, memory 분석 등 굉장히 다양한 것들을 볼 수 있다. 'use strict'; js를 strict 모드로 개발하기 위한 것 순수 vanilla js 작성시 js 최상단에 'use strict';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