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인자 (2)
NOW OR NEVER

함수 프로그래밍을 짤 때 무언가 반복적으로 계산되는(수행되는) 로직들이 있을 때 함수로 만듦. 왜냐하면 함수로 만들면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함수 선언 function 함수이름(인자){기능 수행 영역(code block)} 함수 선언시 function 키워드 사용 {} 즉 코드 블럭을 수행하는 것들을 함수이름으로 가리키게 됨 함수 이름 함수 자체를 가리키는 것 함수를 가리키고 있는 주소(refernce)를 가지고 있다 함수 이름 지정 가능 가능하면 의미있는 이름으로 설정 변수에서 이름을 원하는대로 지정하는 것처럼 함수 또한 원하는대로 이름 지정 가능 짧고 간결하지만 의미있는 이름으로 설정 인자 함수를 호출하는 사람으로부터 필요한 data를 받아오기 위해서 그리고 필요한 data를 받아올 때 함수 내..

함수에서 헷갈릴 수 있는 부분 정확히 이해해야 하는 포인트 선언과 호출의 차이점 이해 함수 선언 어떤 값을 전달받아 올건지 인자들을 정의하고 나서 코드 블럭 작성 선언만 해놓으면 작성한 코드블럭은 수행되지 않는다. javascript에서는 function이라는 키워드를 이용하며 함수 이름을 원하는 이름으로 작성 가능 function Name(parameter){ 실제로 함수 안에서 실행될 코드 } 함수 호출 functionName(); 정의한 선언한 함수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함수를 호출해야 한다. 함수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함수이름 옆에 괄호를 이용해서 함수에서 원하는 정의된 인자값들을 전달하면서 호출해야 한다. 괄호를 쓰지않고 함수 이름만 어디에 할당하거나 전달하면 함수 자체를 전달하는 것이다. 함수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