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최적화 (2)
NOW OR NEVER

Webpack Chunk bundle 파일이 특정 기준을 통하여 몇 개의 파일로 나뉘어진 형태 webpack.config.js에서 optimization{}으로 설정 후 yarn build runtime chunk {} 모듈들에 대한 내용만 남고 분리 vendor chunk {} vendor : 외부 패키지 모듈 ex) jQuery 외부 모듈만 분리하여 관리 hash 값이 바뀌지 않아 hash 값을 통해 효율 관리 가능 chunkhash 나눠진 파일 별로 hash 값 부여 모듈을 제외한 chunk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 소스 코드 최적화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리소스는 최적화 하여 전달해야 함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소스 코드 최적화 방법 사용자를 위해 최적화 하는 것이므로 production ..

리액트 Redux 상태 조회 hook: useSelector const { number, diff } =useSelector(state => ({})) 여기서 state는 store.getState()로 조회한 값으로 리덕스의 현재 상태이다. 액션 디스패치 할 경우 useDispatch Hook 사용 디스배치 함수 사용 가능 프리젠테이셔널 컴포넌트와 컨네이너 컴포넌트 컨테이너와 프레젠테이셔널 컴포넌트를 따로 분리해서 작성하게 되면 프리젠테이셔널 컴포넌트의 재사용율도 높여줄 수 있고 관심사를 분리할 수 있어서 굉장히 유용한 패턴이다. 리덕스 사용시 이런 형태로 개발하는 것 정석이긴 하지만 무조건 답은 아니다 복잡한 상태 로직을 분리시키기 위함이지만 꼭 이렇게 분리해서 작업하지 않아도 된다. 디렉토리 상에서..